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사장님, 법 말고 ‘세상’이랑 싸우셔야 합니다.” (어느 실패한 자영업자의 검찰개혁 라떼)

by 걸이형 2025. 9. 10.
반응형

요즘 TV만 켜면 ‘검찰개혁’ 얘기로 시끄럽습니다. 수사권이니 기소권이니, 중수처니 뭐니… 말을 하는 사람이나 듣는 사람이나 어려운 단어만 난무합니다. 저 같은 장사치는 그런 높은 분들 싸움에 끼어들 깜냥도 안 되지만, 그분들이 말하는 ‘공정한 법 집행’이라는 단어를 들을 때마다 십수 년 전, 제 첫 가게를 말아먹었던 그 변호사의 서늘한 눈빛이 떠올라 속이 쓰립니다.


그때 저는 프랜차이즈 본사의 ‘갑질’에 맞서 억울함을 호소하던 젊은 사장이었습니다. 명백한 본사의 잘못이었고, 계약서상으로도 제가 이길 싸움이었습니다. 하지만 본사 측 변호사는 법정에서 저를 한 번도 쳐다보지 않았습니다. 대신 재판이 끝나고 복도에서 마주친 제게 이런 말을 건넸죠.


“사장님, 사장님은 법이랑 싸우는 게 아닙니다. 이 ‘세상’이랑 싸우시는 겁니다.”


그 말의 의미를 깨닫는 데는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습니다. 본사는 국내 최고 로펌을 썼고, 그 로펌 출신 전관들이 검찰과 법원에 포진해 있었습니다. 저의 ‘정의’는 그들의 ‘관계’ 앞에서 휴지 조각이 되었습니다. 검찰은 본사에 대한 고소는 각하했고, 오히려 제가 본사의 명예를 훼손했다며 역으로 기소 의견을 냈습니다. ‘유전무죄 무전유죄’. 돈 있고 힘 있는 자는 죄를 짓고도 당당하고, 돈 없고 힘없는 자는 죄가 없어도 죄인이 되는 이 지긋지긋한 현실을 그때 처음 뼈에 새겼습니다.


“법의 거미줄은 힘없는 파리만 잡을 뿐, 힘 있는 말벌은 찢고 유유히 빠져나간다.”
- 아나카르시스

지금 와서 검찰개혁을 논하는 저분들은 과연 저 같은 사람의 절망을 알까요? 검사가 수사를 하든, 경찰이 수사를 하든 그게 중요한 게 아닙니다. 진짜 문제는 ‘누가’ 하느냐가 아니라, 그들이 여전히 ‘힘 있는 자’의 편에 서서 칼을 휘두를 것이라는 불신입니다. 그 칼이 향하는 방향은 법전이 아니라, 전화 한 통, 식사 한 끼로 정해진다는 것을 이미 경험으로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결국, 검찰개혁의 본질은 ‘신뢰’의 문제입니다. ‘법대로’라는 지극히 상식적인 말이, 저 같은 서민에게도 똑같이 적용될 것이라는 믿음을 회복하는 과정입니다. 그 믿음이 없다면 수사 주체가 천 번 바뀐들 무슨 소용이겠습니까. 그저 또 다른 ‘힘 있는 집단’이 생길 뿐이겠죠. 부디 이번만큼은 그들만의 밥그릇 싸움이 아니길, 십수 년 전 한 자영업자의 피눈물을 닦아줄 수 있는 진짜 ‘세상’의 변화이길 바라봅니다.


[☕ 걸이형 드림]

저의 꿈은 소박합니다. 번듯한 강남 아파트도, 시세차익 수십억짜리 건물도 아닙니다. 그저 아내와 함께 저녁거리를 사들고 걸어갈 수 있는 작은 집 한 채, 그리고 매일 아침 웃으며 셔터를 올릴 수 있는 작은 가게 하나. 그것이 제 실패한 인생의 마지막 희망이자 꿈, ‘걸이형 드림’의 전부입니다. 법이 아니라 상식이 통하는 세상, 돈이 아니라 정직이 존중받는 세상에서 이 소박한 꿈을 이룰 수 있는 날이 오기는 할까요.

반응형